새로운 성장 동력 ‘대형 프로젝트’ 발굴 모색 道와 환경부에 요청 주민이익 관철해 나갈 것
김돈곤 청양군수는 지난 18일 주민 찬반 갈등이 심화하는 지천댐 건설 문제에 대해 “충남도가 주관하는 주민협의체에 참여해 지역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시키겠다”고 말했다.
김 군수는 이날 오전 11시 군청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가 요구한 대책들이 마련되고 충분히 논의된다면 그 결과를 토대로 군민의 의견을 들어 지천댐 건설에 대한 찬반 의견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김돈곤 군수는 “지천댐 건설의 최종 결정은 주민협의체 구성, 기본 구상 용역 등이 마무리되는 시점이 될 것”이라며 “청양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가져올 수 있는 대형 프로젝트를 발굴해 도와 환경부에 적극 요청하고 관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더욱이 지천댐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대책위가 전날 “주민협의체에 참가하는 것은 댐 건설에 찬성하는 것”이라며 군수를 향해 주민협의체에 참가하지 말 것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김 군수는 “지역 발전을 위한 대책과 지역 주민이 납득하고 수용할 수 있는 지원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댐 건설을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에는 변함없을 것이며 한 발짝도 물러설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군수는 “무조건 찬성, 무조건 반대가 아닌 지역의 피해는 최소화하고 지역의 이익은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는 것이 군의 입장이고 이런 기조를 앞으로도 유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돈곤 군수는 이날 ‘상류 오염원을 어떻게 차단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도 비중 있게 언급했다. 그러면서 ‘환경부 답변’의 미흡한 점도 지적했다.
김 군수는 “환경부가 댐 상류지역에 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로 오염원 유입을 줄이고, 비점 오염물질 저감시설과 수질개선시설 설치 등을 통해 녹조 저감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면서 “댐 상류지역인 청양읍, 남양면, 대치면은 청양군 전체 인구의 1/2이 거주하고 있다. 상류 지역의 축산농가 가축분뇨처리 또한 수질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라며 “축산 분뇨, 생활하수 등 오염원 처리시설을 대폭 확충하지 않는다면 댐 내 수질의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녹조발생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환경부에서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설치를 위해 국비를 우선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했으나 구체적인 지원 방안과 가축분뇨 처리에 대한 언급이 없는 등 상류지역 수질 개선을 위한 명확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청양지역 주민들은 “농촌지역의 인구 감소문제는 현실이다. 지역소멸은 가속화 될 것”이라며 “지천댐이 건설되면 공주·부여는 역사문화공간으로 청양은 산촌문화 힐링공간으로 도시민의 생활인구 유치로 방안묘색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이어 지천댐 건설에 대한 기자들의 질의가 있었다. ■ 양구, 단양은 댐 건설 반대입장으로 무산됐다.김돈곤 군수= 양구와 단양은 청양군과 다르다. 이들 지역은 댐이 2~3개가 있어 댐 건설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청양군은 사실에 근거한 실질적 판단을 위해 제시한 7개 요구안은
김돈곤 군수= ▲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 지천댐에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은 없다.
▲ 타 법률에 의한 규제 및 행정 제재= 자치단체장이 광역단체장에게 요청하는데 어느 군수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규제해 달라고 하겠는가.
▲ 안개 피해 방지와 보상 대책= 모니터링하여 피해 대책 만전과 보상책 마련. ▲ 수몰 피해 상쇄할 지원 대책= ▲ 지천 제방 붕괴 우려 해소 방안= 1급 국가하천으로 지정, 붕괴우려 염려없다. ▲녹조 발생 피해와 지천 생태계 파괴 방지 대책.= 대치면, 청양읍, 남양면에서 발생하는 축산오폐수를 지천에 유입시키지 않고 처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하겠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