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은 본격적인 영농기를 앞두고 볍씨 종자에서 발생되거나 전염되는 병을 미리 막을 수 있는 볍씨 소독 요령에 대해 영농지도에 나섰다.최근 기후변화로 벼 출수기에 고온다습한 날씨가 계속됨에 따라 키다리병, 세균성벼알마름병 등과 같은 종자전염병이 늘고 있어 볍씨 소독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못자리에서부터 병이 발생하고 본 논에 이앙한 다음에도 병이 퍼질 우려가 있다.이 같은 종자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약제 소독 요령은 수온 30℃의 물 40ℓ에 벼 종자 20㎏을 종자소독 적용약제와 선충방제를 위한 살충제를 혼용해 48시간 침지하면 된다.또한 최근 키다리병 방제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온탕침법 종자소독은 60℃의 물에 벼 종자를 10분간 담근 후 바로 냉수에 식히는 방법으로 약제소독과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정부 보급종 볍씨 중 소독된 종자는 약제를 묻혀 놓은 상태로 공급되므로 30℃의 물에 48시간 동안 담가 소독하면 된다.정부 보급종을 완전히 소독된 것으로 잘못 알고 물로 씻어낸 후 물속에 담그게 되면 소독약제가 씻겨나가 소독 효과가 전혀 없다.살균제 중 프로클로라즈 성분을 추가 사용할 경우에는 발아율이 떨어지거나 초기에 모가 잘 자라지 않는 위험이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볍씨를 소독할 때는 소독 순서를 반드시 지키고, 소독약이 효과적으로 볍씨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볍씨와 물의 양, 약제 희석 배수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군 농기센터 관계자는 “발아기를 사용할 때 볍씨를 너무 많이 겹쳐 쌓으면 약액이 고루 침투되지 않아 안쪽에 있는 종자는 소독이 되지 않고 오히려 키다리병 병원균이 잘 자라는 조건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이 관계자는 “고품질 쌀을 생산하기 위한 첫 걸음은 철저한 종자소독”이라며 “볍씨 소독만 잘해도 키다리병 등 주요 종자전염 병해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한편, 군 농업기술센터는 농업인의 고령화와 부녀화에 따른 대책으로 13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 볍씨 소독을 마친 볍씨 종자를 가져오면 볍씨 최아기를 이용해 싹을 틔워 주는 볍씨최아은행을 운영해 안전 영농을 지원할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