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남성 직원 `역차별` 호소도충남도 성평등지수가 대내외적으로 저평가를 받으면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외적 평가는 하위권에 머무는가 하면, 성평등 정책과 관련 행사가 여성 직원에 치우치면서 남성 직원들이 `역차별`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이다.2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21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19년 지역성평등지수’ 평가결과 충남은 75.8점(100점 만점 환산)으로 16개 시·도 중 14위를 기록했다. 전년(74.6점, 13위)보다 점수는 소폭 올랐지만 순위는 되려 한 계단 떨어졌다.항목별로는 가족분야(4.9점↑), 안전분야(3.7점↑), 경제활동&교육훈련&복지·보건분야(0.1~0.4점↑) 등에서 선전했다. 하지만 의사결정&문화정보분야(3.4~3.6↓)에서 취약했다.특히 여성의 의견이 반영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의사결정’ 분야의 경우, 도정에서 개선이 가능한 ‘5급이상 공무원 성비’ 외에도 ▲광역·기초의원 성비 ▲지자체별 위원회 여성위원 비율 ▲여성 기업인 성비 등 도의 노력을 벗어난 항목이 많아 단시간 개선이 어려운 상황이다. 도 관계자는 “총점(800점 만점)으로 보면 충남은 606.7점으로 1위 광주(634.3점)와 27점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의사결정’ 분야에서만 25.3점이 뒤처진다”며 “범사회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 중인데, 도정으로는 한계가 있어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고 밝혔다.도는 우선적으로 내부 의사결정 과정에 여성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오는 22일 ‘도지사&여성공무원 소통공감 토크’를 개최하기로 했다. 여성 공무원들이 직접 선정한 토크주제에 평소 고민과 관심사를 도지사와 직접 소통·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한다는 취지다.하지만 이번 행사를 바라보는 일부 남성 공무원들이 불만을 드러내면서 잡음이 나오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