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수신료 인상이 반대여론에 부딪치면서 충남방송국 설립에 악재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수신료 인상 문제와 충남방송국 설립이 맞물리면서, 수신료 인상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할 경우 충남방송국 추진동력 역시 약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KBS는 지난달 27일 수신료를 월 2500원에서 3840원으로 인상하는 내용의 수신료 조정안을 이사회에 상정했다.양승동 KBS사장은 수신료 조정안을 제출한 뒤 입장문을 통해 ‘KBS재난방송 고도화’, ‘지역방송 혁신’, ‘디지털 전환’, ‘글로벌 역량 강화’, ‘고품질 콘텐츠제작’ 등 내용을 담은 비전을 제시했다.양 사장의 입장문에서 눈여겨 볼 대목은 ‘KBS재난방송 고도화’와 ‘지역방송 혁신’이다.그동안 충남도는 "수도권 외 14개 시·도 중 세종시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KBS방송국이 없어 지역별, 권역별 재난방송에서 소외되고 있다"며 방송국 설립의 당위성을 주장해왔다. 충남도는 또 도민 알 권리 충족과 방송주권 회복을 위해 충남방송국 설립 필요성을 제기해왔다.표면적으로 KBS가 충남의 목소리를 반영했다고 볼 수 있지만, 수신료 인상을 전제해야 충남방송국 설립도 가능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최근 수신료 인상 문제는 ‘KBS직원 억대 연봉’ 비판 글이 커뮤니티에 올라오고, KBS수신료 조정안에 ‘평양지국 개설’ 추진 내용이 담기면서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정치권도 여야 가리지 않고 수신료 인상 불가방침을 밝히고 있다. 여당은 "국민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았다"며 구조조정 등 자구책 마련을 촉구하고, 야당 역시 KBS 보도 공정성과 방만 경영 실태, 북한 퍼주기 등을 문제 삼아 수신료 인상에 반대하고 있다. KBS 지역신청사 프로젝트팀 출범으로 순항이 예상됐던 충남방송국 설립에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