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주민 공감대가 형성된 기후대응댐 후보지 10곳부터 후속 절차를 진행한 것과 관련, 구상 충남도 환경산림국장(사진)은 찬·반으로 갈라진 청양 지천댐은 11월 중 주민설명회를 다시 추진할 방침이라고 25일 밝혔다.
특히 구상 국장은 “지천댐은 주민들의 찬·반 지역으로 충분한 소통을 통해 공감대가 형성됐을 때 후속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25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22일 유역별(한강권역, 낙동강권역, 금강권역, 영산강·섬진강권역)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안’을 지방자치단체에 발송했다.
이는 수자원의 통합적 개발·이용·보전, 홍수 예방·피해 최소화, 하천환경 개선 등을 위해 수립한다.여기에는 지난 7월 30일 발표한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14곳 가운데 경기도 연천군 아미천댐 등 10곳을 댐 신설 후보지로 담았으며, 주민들이 강하게 반대하는 청양군 지천댐 등 4곳은 ‘후보지(안)’으로 명시했다.
환경부는 23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안 확정을 위해) 앞으로 관계 행정기관 협의, 공청회, 지역수자원관리위원회 자문, 국가물관리위원회 부합성 심사,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 심의 등 공식절차를 거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청양군 지천댐 등 4곳의 ‘백지화’는 일축했다. “댐 건설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지역부터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후보지로 반영해 후속절차를 추진하는 것”이라며, “주민 반대가 있는 지역은 지역주민 등과 충분한 소통을 통해 지역사회 공감대가 형성되는 경우 후보지에 포함해 향후 절차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상 도 환경산림국장은 본지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청양군 지천댐이 최종 후보지에서 제외된 것이 아니다”라며 “환경부가 주민 요청으로 25일 부여에서 진행된 설명회는 순조롭게 마쳤다. 청양도 11월 중 추가설명회를 할 예정이다. 앞으로 더 주민들과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환경부는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14곳을 발표할 때까지 공식회의가 이뤄지지 않는 등 선정기준·과정이 불투명·불분명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댐건설관리법에 따라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해 전문성을 가진 국책연구원, 한국수자원공사, 전문엔지니어링사 등이 함께 관련 용역을 수행해 선정했다”며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안)에 반영해 관계기관 협의(10월 21-30일) 중”이라고 반박했다.
또 “공식회의를 하지 않은 것은 중간 검토과정에 있는 정보가 공개될 경우 보상투기 등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며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발표 후 8월 21일부터 지역별 주민설명회(10곳 완료) 개최, 관계기관 협의 등 적극적으로 의견수렴 중”이라고 덧붙였다.정한규 지천댐 추진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지천댐은 미래세대의 자원이며 청양군의 보물이고 선물”이라며 “부여군의 설명회는 순조롭게 진행, 청양과 대조를 보이고 있으며 청양군 주민설명회도 11월 중 개최,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이어 정한규 위원장은 “댐이 건설되면 지역발전에 규제가 심해 발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가자뉴스에 청양군민들께서 속지 말아줄 것을 부탁드린다”며 “지천댐은 취수시설이 없어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