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부터 알뜰주유소의 셀프주유소 전환을 지원하기로 하자 도내 주유소 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6일 충남도와 도내 주유업계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 등은 최근 알뜰주유소의 가격경쟁력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알뜰주유소의 셀프주유소 전환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 방안으로는 한국석유공사가 셀프주유기를 대량 구매해 주유소에 임대하는 방식이다.
이같은 정부 방침에 대해 도내 일반 주유소업계는 “국민의 세금이 알뜰주유소의 편중된 혜택
에 사용되는 것은 역차별”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도내 주유소 업계는 “알뜰주유소에만 특혜를 주는 것은 도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일반 주유소의 생존기반을 흔드는 것”이라며 “세금의 일부를 지원하면서 기존 주유소들과 가격 경쟁을 시키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도내에서도 셀프주유소가 급증, 일반 주유소의 경영난이 악화, 휴폐업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알뜰주유소와 동일한 수준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셀프주유기는 한 대당 2000만∼2500만원 수준으로 일반주유소가 셀프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억원 정도의 예산이 들어 영세 업소의 경우 엄두를 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주유소는 모두 726곳으로 일반 주유소 593곳, 알뜰 주유소 75곳, 셀프 주유소 58곳이 운영 중이다. 이 중 셀프주유소는 지난 2011년 15곳에서 지난해 58곳으로 2년새 286%(43곳) 증가했다.
이에 반해 도내 영세 주유소들의 휴폐업은 꾸준히 증가, 지난 2006년 44개, 2008년 57개, 2010년 64개 등 꾸준히 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주유소를 폐업하기 위해서는 주유탱크 철수 및 토양 정리 비용 등 1억원 이상의 폐업 자금이 소요, 이로 인해 휴·폐업조차 하지 못하는 사례도 늘어나는 등 주유업계 경영난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프리랜서 이인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