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道知事)를 예스럽게 표현해 ‘도백(道伯)’이라고 한다. 이를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맏 백(伯)’이므로 도에서 맏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 사전에는 조선시대 ‘관찰사(觀察使)’를 한 도(道)의 장관(長官)을 이른다고 나와 있다. 관찰사는 조선시대 각 도에 파견돼 지방통치의 책임을 맡았던 최고의 지방장관이다.
고려시대에는 지방 5개 도에 관리를 파견해 안찰사(按察使)라 불렀다.
관찰사는 임금을 대신해 지방장관으로서 도내의 군사와 행정을 지휘 통제했다.
따라서 지방행정 외에 군사조직인 각 도의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를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관찰사에게는 1년에 두 차례 수령을 비롯한 모든 외관에 대한 근무성적을 평가하고 규찰하는 권한이 주어졌다. 특히 관찰사 독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직단권(直斷權)’이 있어 지방행정에서 절대적 권한을 행사했다.
1910년 일제에 의해 관찰사는 사라졌지만, 그 자리에 도지사를 내려보내 지방통제를 강화했다. 이 때 생긴 도지사라는 명칭은 특별시장, 광역시장으로 분화되기는 했지만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다.
중앙 정치권에 의해 임명되던 도지사는 4·19 혁명 후인 1960년 12월 29일 사상 처음으로 도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하게 된다.
하지만 최초의 민선 도지사는 5·16으로 인해 임기 시작과 함께 물러나게 된다. 대통령에 의한 ‘임명제 도지사’가 재등장했음은 물론이다.
1995년 드디어 지방자치단체인 도의 행정사무를 총괄하는 최고 책임자인 도지사가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부활했다.
이와 함께 서울특별시장과 부산광역시장 등 광역단체장도 선출됐다.
바야흐로 민선 도백의 시대가 활짝 열린 것이다.
민선 도지사는 각종 지역정책을 집행하면서 소속 공무원을 지휘 감독하고 도의 고유사무와 법령에 의해 위임하는 사무를 처리하고 있다.
오는 6월 4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도 민선 도지사가 부활된 이후 여섯 번째 도지사 선거가 있다.
각 정당은 다선 중진의원 등 이른바 ‘거물급’을 도지사 후보로 내세우겠다는 입장이다.
그런데 도지사 자격을 두고 ‘거물급’ 운운하는 것을 볼 때 민선 도백조차도 중앙정치권의 입맛에 따라 선택하겠다는 것으로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