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민주당이 6·4 지선에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에 대해 엇갈린 결정을 내리자 여야 도당의 분위기가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12일 도내 정치권에 따르면 새누리당 도당은 기초선거 정당공천제를 폐지하지 않는 대신 ‘상향식 공천제’를 전면 도입하기로 한 중앙당 결정에 따라 공천 접수를 받고 공천관리위원회 활동에 들어가는 등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반면 기초선거 공천을 하지 않기로 한 민주당 도당은 일단 도의원 선거 공천 작업에만 집중하고 기초선거에 대해서는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도당은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 이날 첫 회의를 갖고 규정에 맞는 엄정한 공천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새누리당은 기본적으로는 모든 선거에 경선을 적용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공천관리위 회의를 거쳐 각급 선거별, 지역별 특성에 맞춘 공천 방식을 차례로 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도당은 공정한 공천 관리에 당력을 집중할 방침이지만 오는 15일까지 진행하는 공천 접수 등으로 인력 부족을 호소할 정도의 업무 부하에 걸려 있다.
새누리당 도당 관계자는 “중앙당 차원에서 전반적인 공천 일정은 물론 선거인단 규모와 범위, 경선 적용 대상 등 구체적인 ‘경선 룰’이 아직 정해지지 않고 있다”며 “방침이 내려오면 공천관리위를 통해 후보자 결정 방법을 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당 도당은 시장·군수와 시·군의원 공천 업무가 없어져 도의원 공천업무만 담당하는 데 그치고 있다. 무소속 안철수 국회의원의 새정치연합과의 통합신당 창당이 선언된 이후 내부 조직 단속에 주력하고 있지만, 기초선거 후보 정리에는 당이 개입할 수 없게 된 만큼 각 개인 별 역량에 맡길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도당은 야권 후보들이 난립하면 필패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만큼 자발적으로 후보 단일화를 위한 조율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을 찾을 계획이다. 도당은 또 18개 시·군마다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대선 공약 이행 사실을 알리는 현수막을 게재하는 등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정당’이라는 점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프리랜서 이인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