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향식 공천제를 확정한 새누리당이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기초단체장 및 기초의원 무공천 방침에 내심 반색하고 있다. 오는 6·4 기초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는 기호 1번의 프리미엄을 갖는 반면 통합신당 성향의 후보가 정당기호를 받지 못하고 무소속으로 나설 경우 후보군 난립으로 표가 분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일종의 ‘반사이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 새누리당의 속셈이다. 새누리당 안팎에서는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대선공약을 폐기했다는 여론 악화를 의식해 이 같은 기대감을 겉으로 드러내지는 못하고 있지만 내심 이번 선거전에서 정당공천을 통해 야권보다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역 정치권에 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기호 1번의 프리미엄을 갖는 것이 선거전에서 유리하지 않겠느냐”며 “도내 각 지역마다 정당 선호도가 다르겠지만 무소속이 여러 명 출마하면 기호 1번이 선택받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현행 선거법에 따르면 기존 정당 후보들이 기호 배정을 우선적으로 받는다. 이에 따라 통합신당 성향의 무소속 후보들은 국회의석수에 따라 통합진보당, 정의당 후보보다 후순위 번호를 추첨을 통해 배정받게 된다. 도출신 국회의원실의 한 관계자는 “경남은 (새누리당) 깃발 꽂으면 100% 당선된다는 얘기가 공공연히 들리고 있다”며 “도내만 보더라도 새누리당 지지율이 65%에 육박한다는 점에서 정당 간판을 거는 것이 다소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야권은 어느 정도 교통정리를 한 후에 경쟁력 있는 후보를 내세워 1대1 대결에 임할 것이라는 관측 또한 제기되고 있다. 도내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측에서 무공천에 대한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본다”며 “야권 후보가 분열되면 기초단체장 선거뿐만 아니라 광역의회 선거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단일화 분위기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판단된다”고 말했다. 프리랜서 이인식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