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NH농협카드와 KB국민카드, 롯데카드에서 유출된 개인정보 1억400만건 중 8000여 만건이 시중에 유출돼 스미싱과 명의도용 등 2차 피해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카드 3사의 고객정보 유출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최근 고객 정보 8050만건이 대출중개업자에 팔려나간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외부 유출은 없다”고 장담했던 카드사와 정부의 공언과 달리, 피해 고객들의 개인정보가 시중에 유출된 셈이다. 특히 유출된 정보에는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직장정보, 신용등급 등 민감한 내용이 대거 포함돼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카드번호나 결제계좌, 신용등급 등 금융 관련 고급 개인정보만 있으면 특정인을 타깃으로 한 대출 사기나 송금유도 사기 등을 계획하기 쉬워지고 카드번호와 유효기간만으로도 해외 카드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경찰 등 사법당국도 2차 범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충남경찰청 한 관계자는 “대출중개업자에게 넘어간 개인정보가 어떻게 유용됐는지 확인조차 되지 않고 있는 만큼 대응책 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특히 카드사 정보는 KT 등 일반 정보와 달리 개인의 금융정보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2차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더구나 최근 유출된 개인정보를 이용한 보이스피싱 등의 범죄가 잇따라 발생, 도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개인정보가 유출된 김모(31·여)씨는 “유출된 개인정보가 어떻게 유용됐는지 확인할 길이 없어 두렵다”며 “정부에서 실질적인 피해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카드사들의 대응책은 사실상 전무하다. 실제 해당 카드사들은 이달 초 검찰로부터 2차 정보유출 정황을 전달받고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지만 추가로 내놓을 뾰족한 대응책이 없는 상태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일부 고객 정보가 시중에 흘러나갔다는 사실만 밝혀졌고, 이것이 금융사기 등에 이용됐다는 증거는 포착되지 않았다”며 “현재 추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 중에 있다”고 말했다.
김명일 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