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경선 지역과 대상자가 확정된 이후 경선 후보자 사이에서 ‘당심 공략’을 위한 당원명부 확보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새누리당 도당은 지난 6일 도지사 경선에 참여할 당원 선거인단 3,256명을 추첨한데 이어 9일 단체장과 도의원 및 시·군의원 경선지역 중 당원투표가 이뤄지는 곳에 대한 당원선거인단 추첨을 마무리했다. 추첨 명단은 경선 선거운동이 시작되기 직전에 일괄 배부될 예정이지만 경선에 참여한 후보들은 대의원과 책임 당원, 일반당원 등을 분류한 명부를 경쟁 후보보다 먼저 확보하는데 사활을 걸고 있다. 단체장의 경선은 지역 대부분 ‘당원투표 50%·여론조사 50%’로 치러지기 때문에 여론조사에서 각축을 벌이고 있는 지역일수록 당심의 향배가 사실상 결과를 가를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각 캠프가 지역에서 선거를 많이 치러본 경험이 있거나 당내 인맥이 두터운 지역 인사들을 끌어들이는 작업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경선 후보들은 여러 통로를 통해 기존 당원명부를 입수, 지지를 당부하고 있지만 확보한 명부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언제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인지 알 수 없거나, 정확도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당원 명부를 직접 관리하는 각 당원협의회나 국회의원실 등에서 일한 경력이 있는 캠프관계자가 있는 경우는 의심의 눈초리를 받고 있다. 실제로 지난 달 대전 지역에서는 특정 후보가 부당한 방법으로 당원 명부를 확보했다며 이의를 제기, 경선 룰을 변경하는 사례도 발생하기도 했다. 한 단체장 경선후보는 “당원 명부를 직접 관리하는 당협에서 일한 경력이 있는 사람이 참모로 있는 캠프라면 명부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많지 않겠느냐”며 “이같은 불공정 시비가 일어나지 않게 도당이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선특별 취재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