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운동이 재개됐지만 세월호 침몰사고가 가져올 예측 불허의 변수에 정치권과 예비후보 진영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부적절한 발언·처신은 치명적= 여야와 각 후보 측은 선거일정 재개 후에도 여전히 숨죽인 모습이다. 세월호 침몰 이전에는 수시로 자신들의 활동과 정책 등을 언론에 제공했던 새누리당 도지사 경선후보 3명 모두가 보도자료를 내지 않는 등 자중하는 모습이다.
세월호 충격이 지선 당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도지사와 시장·군수, 지방의원 예비후보 및 입지자 등의 조심스러운 행보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에서는 한순간의 부적절한 발언과 처신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역대 선거에서 도내 표심은 막말 등에 단호하게 반응했다. 2012년 총선 당시 나온 나꼼수 멤버 김용민씨의 막말은 야당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달 중순 60%대 중반을 넘었던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은 50%대 중반으로 급락했다. 이에 따라 고개를 들고 있는 정권심판론이 이슈로 떠오를지 여부도 새로운 변수다. 일부에서는 정권 심판론을 통해 이번 선거가 새정치연합 등 야권에 유리한 국면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세월호 침몰의 특성상, 야권의 정치적 공세는 역풍을 맞을 여지도 충분하다.
■ 최대변수 ‘세대별 투표율’ 등락 여부 예상 어려워= 정권 심판론이 이슈로 등장한다면 이번 선거 결과는 세대별 투표율에 따라 갈릴 가능성이 높다. 2010년 지방선거는 정부여당에 비판적인 20·30대 투표율이 이명박 정부 심판론으로 크게 높아지면서 사실상 야당의 승리를 가져왔다.
반면 지난 대선에서는 야권 인사의 막말 파문 등으로 50대가 움직이며 박근혜 대통령이 압도적으로 승리했다. 정권 심판론이 등장하더라도 새정치연합이 ‘대안 세력’이라는 확신을 주지 못한다면 유권자들이 여야 모두에게 등을 돌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 경우 역대 최저의 투표율을 기록할 가능성도 크다.
프리랜서 이인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