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충남도교육감 선거에 나설 4명의 예비후보는 `부패 척결`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후보들은 시·군 교육장에 대한 완전 공모제를 시행해 학연·지연·줄서기를 근절하겠다는데 한 목소리를 냈다. 충남도교육청은 첫 민선을 포함한 전·현직 교육감 3명이 임기 중간에 각각 뇌물죄와 교육자치법 위반죄 등 각종 비리사건으로 잇따라 하차했다. 진보 진영의 김지철(전교조 충남지부 초대 지부장) 후보는 `부정부패 매관매직 없는 충남교육` 실현을 위해 `교육비리 원스트라이크 아웃제`와 `충남교육도민 감사관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교육전문직인 장학사를 교감 중심으로 선발해 젊은 나이부터 승진에 매달리는 병폐를 차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불거진 장학사 선발 관련 비리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겠다는 것이다. 명노희(충남도의회 교육의원) 후보는 `승진 할당제` 도입과 `교육감 권한 대폭 이양`을 내걸었다. 명 후보는 "우리 교육계 부정과 비리는 공정치 못한 인사에서 비롯됐다"며 "특정 고교 출신, 특정지역 인맥 중심으로 승진이 편중되는 일이 없도록 지역별 승진 할당제를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교육감에게 집중된 인사권과 예산 집행권을 시·군 교육장에게 대폭 이양해 시·군 교육장 인사권과 예산 집행권의 자율성을 보장하겠다"며 "교육감은 교육정책 입법, 예산확보 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만철(전 공주대 총장) 후보는 `탕평의 인사정책`을 펼쳐 교직원 모두에게 존중과 처우를 보장하겠다고 공약했다. 서 후보는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분들이 반대편의 목소리를 적대시하거나 지나치게 사법처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복잡하고 어렵더라도 끈기있게 소통하고 해결해 가는 `경청하는 교육감`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직원, 학교회계직, 비정규직 등 학교 현장에서 일하는 다양한 교육가족 단체들과 정기적 간담회를 열어 학부모·학생단체와 스킨십을 강화하겠다"며 "교육청 앞마당에 소통 광장을 신설해 자유로운 집회와 시위를 보장하겠다"고 설명했다. 심성래(전 예산교육장) 후보도 부정부패 척결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심 후보는 "각종 비리로 교육감이 연속 중도 하차해 도민과 교육공동체의 신뢰를 잃고 현장교육은 사기가 저하됐다"며 "깨끗한 교육 토양과 청렴문화 건설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