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6·4 지선의 경우 6월 4일이 임시공휴일이고 같은 달 6일은 현충일이라 5일 하루만 휴가를 내게 되면 4∼8일 5일간 연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저조한 투표율이 우려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세월호 참사’가 발생, 선거 분위기가 가라앉아 저조한 투표율이 현실화될 개연성이 높다. 정치권에서는 후보자들이 ‘작은 선거’를 지향, 본 후보 등록 후에도 선거 열기가 과거만큼 달아오르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세월호 참사에 따른 트라우마가 전염병처럼 번져 ‘정책 선거’보다는 ‘감정’에 의한 투표 행위로 흐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선거 전문가들은 국민들이 세월호 참사로 인해 심적 우울증을 겪고 있는 점을 감안, 각 정당과 후보자들이 차분하게 정책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거업무 전반을 관장하는 선거관리위원회가 기존 선거와 크게 달라진 분위기를 빠르게 감지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충남대 한 교수는 “사회 전체가 충격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선거 분위기를 띄우는 것이 사실상 어려워 결국 깜깜이 선거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며 “정치 공학적 셈법이나 이념 논리로 투표율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투표는 민주 시민으로서 행사해야 할 권리라는 당연한 사실을 알려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투표의무제’와 ‘투표 인센티브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호주의 경우 투표하지 않을 경우 20달러의 벌금을 내도록 하는 투표의무제를, 일본은 투표한 유권자들에게 투표 확인증을 발부해 주는 투표 인센티브제를 각각 시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여겨 볼만하다. 한편 충남도내 여야 정당들은 정당이 할 수 있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투표 독려를 해 나갈 방침이다. 새누리당 충남도당 한 관계자는 “당원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선거운동과 투표 홍보를 아울러 병행하면서 주위를 독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충남도당 한 관계자도 “젊은 유권자들이 많은 대학가를 중심으로 선거 관련 리플릿을 나눠주는 등 투표율 제고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프리랜서 이선영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