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특수란 말이 무색할 정도입니다. 2000년대 중반의 지방선거와 비교하면, 매출이 50%가량 떨어졌습니다.”
청양지역의 한 플래카드 제조업체 대표의 하소연이다. 그는 “현수막 제작비용으로 1m당 6,000~7,000원 정도 받는데, 이번 지선에서는 대전에서 절반 이하 가격에 택배로 받아 설치하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겠다는 출마자들의 말을 곧이 믿을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6·4 지선을 맞았지만 지역 관련 업계는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예전 같으면 지역 플래카드 업체를 비롯해 출판물 제작, 선거유세 트럭, 앰프 등 시설업체와 홍보업체 등이 호황을 누렸지만 이번에는 다르다. 지방선거가 회를 거듭하며 선순환의 ‘선거 경제학’은 고사하고 주민들이 부담하는 ‘선거비용’의 ‘역외 유출’만 더 심각해지고 있다. 지역경제에 대한 진지한 고민보다는 저비용이나 대전권 중심의 정보와 기술력을 좇고 있기 때문이다. 이
들 후보자 대부분 선거운동원 인건비나 사무실 임대료 등 일부를 제외하면 상당수 비용이 타지로 빠져나간다.
화물운송업계 관계자는 “유세차량의 경우 1톤 트럭 임대와 설비 등에 1,000만~1,500만원이 드는데, 일부는 대전권 업체에 맡겼을 정도”라고 말했다.
문자메시지(SMS) 전송의 경우 한 번에 수십, 수백만원이 들지만 장비와 기술력 때문에 고스란히 대전권이나 수도권 업체로 빠져나간다. 한 후보자는 “업체에 400만~500만원의 선금을 입금해야만 전송이 이뤄지는 구조라서 100% 외지업체의 수입”이라고 했다. 온라인 홍보도 마찬가지다.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등에 거액의 비용을 주고 홍보하는 후보들이 적지 않다.
지역업체 관계자는 “당선만 생각한채 대전 등 외지업체에 의존하는 후보자의 행태를 생각하면 씁쓸하다”고 말했다.
프리랜서 이인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