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도지사 안희정·사진)는 장애인의 이동권 확보를 위해 장애인편의시설 적정설치율을 향후 10년간 30% 높이기로 하고, 지원센터 운영과 도민촉진단 운영 등 각종 시책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장애인편의시설 적정설치율은 2013년 기준 54.8%로 전국 평균(60.2%)에도 못 미치는데다 시·군별 편차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별 장애인편의시설 적정설치율을 보면 계룡시가 64.0%로 가장 높았으며, 당진시(63.4%), 천안시(61.5%), 공주시(59.7%), 태안군(57.5%), 서산시(56.9%), 예산군(5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양군(54.4%), 부여군(51.4%), 보령·아산시(51.3%), 논산시(50.4%), 금산군(47.1%), 홍성군(46.9%) 등은 도 평균을 밑돌았으며, 서천군은 38.0%로 가장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도는 ‘충남도 복지보건 중장기계획’과 ‘제2차 충남도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에 따라 장애인편의시설 설치율을 오는 2023년까지 향후 10년간 매년 3%씩 높여나가기로 했다.
세부적으로는 ▲지원센터 운영(도 1곳, 시·군 15곳) ▲공공기관 장애인편의시설 설치비 지원 ▲모범업소 선정(매년 5곳) ▲장애인편의시설 설치 도민촉진단 활동 지원(1곳 92명) 등 다양한 시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도는 지난달 9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도와 시·군 장애인편의시설 관계자 등 민·관 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기관간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시·군 자체적으로 편의시설 확충계획을 수립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도는 앞으로 매년 통합평가를 실시해 시·군의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 노력도(전년대비 증가율)를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장애인편의시설 확충 계획은 시설주의 인식개선과 시장·군수의 추진의지 없이는 달성하기 어렵다”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모두 함께 행복한 충남 건설을 위해 도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