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시설은 무조건 우리 마을에 들어올 수 없다. 청양군 비봉면 강정리 폐기물 불법매립 의혹에 대한 굴착 결과 환경오염이 없는 것으로 밝혀져 파문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대책위가 주장하고 있는 강정리 보민환경 작업장 내의 폐기물 불법매립 의혹지점에 대해 지난 6월16일부터 20일까지 5일간 대책위원회, 시민단체, 지역주민, 청양군 공무원, 사업체 관계자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깊이 21m, 폭 15m을 굴착을 시도했다. 권오복 대책위원장은 “충남도와 청양군, 환경단체와 합의한 작업장 10곳을 굴착 조사해야 한다”고 매립 의혹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 그는 "청양군 관계 공무원이 지난달 30일 굴착지점에 대해 협의 요청이 왔지만 합의한 사항을 이행하라는 뜻을 전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굴착과정에서 나온 토사와 용출된 지하수의 상태는 환경오염이 발견되지 않아 대책위의 매립의혹 주장이 허위로 드러나고 있어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더욱이 시민단체와 일부 마을 사람들이 `갈 데까지 가보자`식으로 갈등을 조장, 지역주민 및 농민들이 피해가 예상되고 있어 충남도와 청양군의 신속한 대책마련이 절실하다는 여론이다. 보민환경 관계자는 “불법매립에 대한 아무런 근거자료 없이 주민들의 주장만 믿고 사업장에 중장비를 동원해 무차별 전 구간을 파헤친다는 것은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며 “더 이상의 굴착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반발했다. 이 관계자는 불법매립의혹에 대한 근거서류 확인서 및 사진 기타 의혹 사실증명, 불법매립의혹이 있다고 제보한 인적자료 요구, 굴착 후 불법매립의혹이 허위로 밝혀졌을때 피해보상 및 책임소재 등을 충남도와 청양군에 요구할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충남도와 청양군은 “현재 입장을 밝힌 단계가 아니다. 좀더 진행방향을 지켜보고 결정하겠다”고 답변을 유보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주민들은 시민단체와 젊은 사람들이 주도, 무조건 일반폐기물 매립장 설립 반대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들 주민은 “사업체가 20억원을 마을발전기금으로 기부하고, 매년 1억원 지급과 마을주민으로 구성된 5명의 청원경찰제를 운영 환경오염 폐기물을 차단하겠다. 5년후에 사업장을 기부체납하겠다는데 문제될 게 있냐”고 반문하며 “다른 의도가 있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청양군 관계자도 "주민감사를 2차례에 걸쳐 조사를 받았으며 충남도로부터 직무이행을 요구, 성실하게 이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반폐기물매립장 설립을 둘러싼 주민과 시민단체, 청양군, 사업체와 갈등, 곱지 않은 시선 속에 도를 넘는 님비 현상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프리랜서 이인식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