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6기 당진시는 권위적 공직사회를 탈피, 시의회와 시민들의 여론이 정책과정에서 상당부분 영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김홍장 시장은 지난 2일 취임 후 첫 공식 기자회견을 갖고 민선6기 당진시가 나아 갈 방향에 대해 브리핑 했다. ‘행복한 변화, 살맛나는 당진’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김 시장은 “지금까지 당진시의 발전과 개발과정에서 사람이 없었다”며 “모든 발전과 변화는 사람 중심으로 우리 스스로 가꾸어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김 시장은 주민자치위원회의 강화와 당진시의회의 위상을 높이는 방법을 선택했다. 김 시장은 주민자치위원회의 강화의 경우 “지방자치가 시작 된지 20여년이 흘렀음에도 형식적, 절름발이 지방자치에 불과 했다”며 “앞으로 갈등이 내재된 정책결정, 읍면동 단위 대표 민원이 발생할 때 마다 주민들의 의견을 취합하고 통일한 주민자치위원회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당진시민들의 대표 기관인 시의회에 대해서도 김 시장은 도의원 출신답게 위상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지금까지 지방의회의 경우 의회사무국의 인사권 문제,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소외, 예산수립과정에서의 미참여, 행정사무감사 이후에 대한 감시권 부재 등으로 인해 존재의 이유에 대한 회의적 시각도 존재했었다. 김 시장은 “주민의 대의기관인 시의회의 위상 강화와 권한 확대가 진정한 지방자치시대를 만들어 갈 수 있는 토대다”며 “의회와 합의되지 않은 일을 하지 않으며 상위법 개정을 위해 국회에 건의 하겠다”고 강조했다. 관심을 모은 공직사회 개선에도 김 시장은 외부 진단을 통해 조직개편을 단행한다는 방침이다. 김 시장은 “7월 인사를 최소한으로 하고 전문가에 용역을 의회 당진시의 조직과 경영에 대한 진단을 마친 후 연말에 큰 폭의 인사를 단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전임 시장이 추진한 사업에 대해서는 재검토를 통해 좋은 것은 이어가고 시민들이 원치 않는 것에 대해서는 시의회의 결정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시의회의 강화, 시민단체, 주민자치위원회의 권한 강화로 인한 공직사회의 안전성 결여, 정책결정의 위축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 김 시장은 “기우라고 생각한다”며 “지금까지 자치단체장의 권한이 많았는데 이를 분산시켜 지방자치의 전국모범사례를 만들어 낼 것이다”고 마무리 했다. 당진투데이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