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쌀 학교급식이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농가보다 유통업체만 배불리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8일 충남도에 따르면 학생들에게 안전한 먹거리 제공을 위해 올해부터 충남도교육청 23억1200만원(50%), 도와 각 시·군 각각 11억5600만원(25%)씩을 지원, 유·초·중·고 학교 급식에 친환경 쌀을 전면 공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안 714농가(890㏊), 아산 696가구(652㏊), 서산 614가구(399㏊), 공주 608가구(744㏊), 보령 530가구(489㏊) 등 충남도 전체 친환경 쌀 재배 농가가 6232가구(7235㏊)에 이를 정도로 농가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소득원에 대한 기대감으로 친환경 쌀을 재배하겠다는 농가들이 많은 반면, 도내에서는 친환경 쌀을 전문으로 유통시키는 업체가 손 꼽을 정도로 적은데다 영농조합을 거쳐 농협이 수매하는 것이 전부여서 낮은 가격에도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판매할 수밖에 없다는 게 농민들의 주장이다. 쌀 수매가가 가장 높은 철원지역의 경우 조곡의 농협 수매가는 일반쌀이 10㎏당 1만5100원 이며, 친환경 쌀은 1만6610원(무농약), 1만8120원(유기농)으로 일반쌀 대비 각각 10%와 20%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농협과 친환경 쌀 유통업체가 일선 각급 학교에 최종 납품 하는 친환경 쌀(10㎏)의 단가는 최초 수매가보다 2배 가까이 높은 3만원 선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통업체들이 물류비용을 최종판매금의 30%가까이 잡는 등 10㎏당 도정에 따른 손실금과 이익금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고 주장하고 있다. 친환경 쌀을 재배하는 농업인 이 모(50·보령)씨는 “물건을 만드는 것으로 비유하면 친환경 쌀 재배가 일반 쌀 재배보다 노동력과 자본이 더 들어가는데 결과는 기대에 못미친다”면서 “농민들은 친환경 쌀을 재배해 봐야 유통업체만 배불리는 꼴이라는 말들을 많이 한다”며 씁쓸해 했다. 이에 대해 유통업체들은 도정을 하면 양이 30%정도 줄어드는 데다 물류비용까지 발생해 이익률은 많아야 5~10% 정도라며 농민들의 폭리주장을 반박했다. 농협 관계자는 “도정비를 제외하고 인건비, 유통비를 빼면 실제 이익률은 5%에 불과하다”며 “당초 쌀값이 낮게 책정된 것이 문제가 되고 있을 뿐 유통과정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충남지역신문협회 정운대 취재본부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