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번호 수집이 금지된 지난 7일 별다른 혼란은 없었다. 특히 당초 발표와 달리 일부 기관에서는 기존대로 주민번호 수집을 허용하고 대체수단으로 알려진 마이핀조차 거의 홍보가 되지 않아 변죽만 울린 셈이 됐다. 이날 예약대란이 우려됐던 도내 대부분의 병·의원은 기존대로 전화로 예약하는 환자들에게 주민번호를 묻고 진료일정을 안내했다. 보건복지부가 아직 병원들의 예약시스템 개편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내년 2월까지 한시적으로 현행 주민번호 확인 방식의 진료 예약을 허용하면서 가능해졌다. 결국 일부 주민등록번호 수집 금지에 착실히 대비해온 의료기관만 불편이 발생하고 말았다. 반면 주민번호가 반드시 필요한 시·군 출산장려금 지급 등 조례에 의거한 지자체 특수시책은 무산 위기에 몰렸다. 하지만 현재 안전행정부는 일단 2월까지는 시책을 계속 시행하며 이후에 대책을 찾아보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주민번호 대체수단으로 알려진 마이핀도 주민들은 물론 지자체조차 관심 밖이다. 현재 마이핀을 발급받을 수 있는 곳은 사실상 읍·면주민센터뿐이다. 주민번호 수집 금지 첫날인 이날 오전 청양읍사무소를 찾았지만 창구에는 이를 안내하는 설명이나 포스터조차 없었고 발급자 역시 한 명도 없었다. 청양읍사무소에서 만난 주민 이모(57·청양읍)씨는 “주민번호를 쓸 수 없다는 홍보만 있지 대체수단에 대한 정보는 듣지 못했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청양군 관계자는 “앞으로 지속적인 홍보와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해 군민의 불편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프리랜서 이인식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