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담배재배 농가를 위한 보호 정책없이 일방적으로 담뱃값 인상을 결정, 강원도내 담배재배농가들이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이는 담뱃값이 인상되면 소비가 줄어 담배 재배 농가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 때문이다. 청양군 대치면에서 45년째 담배 농사를 짓고 있는 최 모(69)씨는 담뱃값 인상 소식에 농사를 계속해야 되는지 고민하고 있다. 매년 1월 KT&G와 수매량을 정해 계약을 체결한 후 10월에 담뱃잎을 납품하는 최씨는 “올해 담뱃잎 1㎏의 평균 수매가격이 9804원이다. 수매가를 올렸다고 하지만 등급별로 편차가 있어 좋은 등급을 못받을 경우 얻는 수익은 비슷하다”며 “예전엔 밭 전체에 1회만 뿌렸던 곁순억제제를 지금은 줄기마다 일일이 약을 뿌리는 등 일이 훨씬 많아졌지만 수매 등급측정은 예전보다 훨씬 더 엄격해졌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같은 마을에서 담배재배를 하고 있는 유재옥(65)씨도 “재배면적은 자꾸 줄고 값싼 외산잎 수입만 늘면서 담배 농가의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엽연초생산조합 관계자는 “현재 재배농가에 대한 정부 지원은 퇴비 구매 시 700~900원 보조해주는 것이 전부”라며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에 담배 관련 종사자들의 생계유지를 위한 보호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조항이 명시돼 있는 만큼 정부는 재배농가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엽연초생산협동조합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02년 KT&G가 민영화 이후 국산 잎담배 사용량 을 줄여 전국 담배 재배농가 수도 2만5000여 가구에서 연평균 15%씩 줄어 현재는 3500여가구에 불과하다. 이인식 기자 bjnews@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