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태블릿 PC의 보급속도가 빨라지면서 잘못된 자세로 인한 디스크 환자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따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이 2009년 224만명에서 2013년 271만명으로 5년간 약 47만명(20.8%) 증가했다고 밝혔다.
디스크 진료인원을 성별로 따지면 2013년 기준 여성 155만7천명, 남성 114만8천명으로 여성이 더 많았다.
연령별 점유율은 2013년 기준 50대가 26.2%로 가장 높았고 40대 19.2%, 60대 18.3% 순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디스크를 세부질병명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목디스크(경추 간판 장애)는 5년간 29.7% 증가했고 허리디스크(기타 추간판 장애)는 18.4% 증가해 목디스크 증가율이 더 높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심평원은 "목디스크 진료인원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2011년 12.2%로 가장 높았다"며 "이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보급과 무관하지 않아 보이며, 실제로 이동 중의 IT기기 사용은 목에 무리를 준다고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디스크는 척추뼈 마디 사이에서 쿠션같이 완충작용을 해주는 디스크 조직(추간판)이 잘못된 자세나 무리한 운동 등으로 밖으로 밀려나오며 발생하는 질환이다.
디스크는 척추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목과 허리 부분에 많이 발생하며 허리의 경우 대부분 허리 통증과 발·다리의 방사통 등을 동반하며 목은 뒷목과 팔·손에 방사통 등이 나타난다.
최세라 기자 chitpfk400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