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6기에도 3농혁신을 도정 핵심정책으로 설정한 충남도(도지사 안희정·사진)가 앞으로 4년간 3농혁신 관련 사업에 4조 7000여억 원을 투입한다. 도 농정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농어업ㆍ농어촌ㆍ농어업인의 희망을 키워 나아가기 위해 5대 부문, 15대 전략과제, 50개 중점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14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3농혁신 2030 발전계획 보고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3농혁신 2단계 추진계획’을 마련,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2018년까지 4년 동안을 계획 기간으로 설정한 민선6기 2단계 추진계획은 ‘지속가능한 농어업, 살기 좋은 농어촌, 함께하는 3농혁신’을 비전으로 세웠다. 목표는 ▲가치증진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산업 육성 ▲누구나 와서 살고 싶은 농어촌 만들기 ▲농어업인이 주체가 되는 협치농정 실현 등으로 설정했다. 이에 따른 부문별 혁신전략 및 과제를 보면, 농어업 부문 생산혁신 전략은 ‘지속가능한 농어업, 신성장 농산업 육성’으로 잡고 ▲지속가능한 친환경 고품질 농업육성, 직불금 제도 개선 ▲자연친화형 선진 축산업 육성 등 5개 과제를 추진한다. 유통혁신 전략은 ‘농산물 유통선진 체계 구축 및 융복합 산업 육성’에 ▲지역순환형 로컬푸드 소비활성화 기반 조성 ▲산지조직화ㆍ규모화를 통한 시장교섭력 강화 등 3개 과제를, 소비혁신은 ‘도시·농촌 상생발전과 착한소비 정착 기반 마련’을 전략으로 세우고 ▲공정팜핑에 기초한 도·농 쌍방향적 교류 활성화 등 2개 과제에 행정력을 집중한다. 농어촌 부문 지역혁신은 ‘주민이 주도하는 살기 좋은 삶터ㆍ일터ㆍ쉽터 가꾸기’를 전략으로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및 지역 혁신모델 구축 등 2개 과제를 세웠으며, 역량혁신은 ‘농어촌 주민 역량 강화 및 협치농정 체계 구축’을 전략으로, ▲농어촌 인력의 체계적 발굴ㆍ육성ㆍ관리 등 3개 과제를 내놨다. 이를 위한 추진체계는 친환경고품질, 소비혁신 등 9개 추진단과 유통구조개선, 도농교류 등 7개 팀으로 꾸릴 계획이다. 사업비는 국비 1조 8143억 원을 포함해 모두 4조 7455억 원으로, 내년부터 4년 동안 순차적으로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보고회는 안희정 지사와 허승욱 도 정무부지사, 3농혁신 위원과 거버넌스 추진조직인 9개 추진단, 7개 추진팀의 민간 단ㆍ팀장, 도와 시ㆍ군 관계 공무원과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으며, 3농혁신 2030 발전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와 2단계 계획 개요 및 후속 조치계획 보고, 종합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강재규 기자 jackworth@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