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후 반년 만인 지난 17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환풍구 추락 사고로 16명이 숨지는 참사가 또다시 발생하자 충남도내에서도 안전불감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사고도 ‘전형적인 인재(人災)’로 판명되면서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도내 곳곳의 시설물 환기구, 야외관람시설 등에 대한 정기적 안전점검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박 모(47·청양읍)씨는 19일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 의식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는데도 인명사고가 계속 발생해 남일 같지 않다”며 “세월호, 헬기추락, 건물 화재 등 육해공에서 모두 사고가 일어나다 보니 집에서조차 안전하게 쉴 수 없다는 생각이 들 만큼 매우 불안하다”고 말했다.
김 모(28·정산면)씨도 “안전불감증이 부른 참사가 언제쯤이면 끝날 것인지 두렵다”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정부의 외침은 이번에도 역시 헛구호에 그쳤다”고 비판했다.
정 모(42·청양읍)씨는 “판교 사고를 계기로 도내 지하차도 등 지하시설물이나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시설물에 대한 일제 점검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충남도내 학교안전사고 보상건수가 하루 평균 10건 이상씩 발생하고, 보상금액도 30억원이 넘게 지출되는 등 학교안전에 빨간불이 켜져 학부모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16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안민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학교 안전사고 보상 통계’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전국 학교 안전사고는 총 31만4154건이 발생해 3345억 3207만7000원을 보상해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기간 충남도 내 학교들은 총 1만862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71억1613만5000억원을 보상해 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학교 수업일수를 220일로 볼 때 하루 10여명 이상이 안전사고를 당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인식 기자 bj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