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상일 의원은 21일 충남도교육청에서 진행된 대전ㆍ세종ㆍ충남도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를 제시했다.
OECD 국가 중 청소년 자살률 1위. 이 의원은 이것은 통계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이라고 강조하며 “청소년 자살률 1위가 반증하듯, 학교폭력의 유형도 다양화되고, 폭력 신고 건수도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대전ㆍ충남 교육청에 대한 117학교폭력신고센터 접수 현황을 보면, 2012년 대전은 2144건에서 2013년도에는 3469건으로 61.8%가 증가했고, 충남은 2960건에서 33.6% 증가했다.
또한 학교폭력심의위원회 심의 건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전은 2010년 189건에서 2013년에는 664건으로 3.5배 이상 증가했고, 충남은 143건에서 897건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고 교육당국의 입장을 따져 물었다.
이처럼 학교폭력심의 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해학생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대전은 2010년 421명에서 2013년 1193명으로 2.5배 이상 증가했고, 충남은 428명에서 1536명으로 3.5배 이상 증가했음을 이 자료는 보여줬다.
학교 폭력을 근절하고 예방하기 위한 교육당국의 노력이 얼마나 절실한 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학교폭력심의위원회 심의 횟수 증가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늘고, 지금까지 숨겨져 있던 학교폭력현실이 드러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학교폭력 가해유형중 협박, 감금, 약취 유인, 금품갈취, 사이버 폭력 등 날로 험악해져 가해학생선도 및 조치에서는 특별교육 및 심리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전문상담교사 수가 부족한 현실 속에 앞으로 상담교사 배치 확대를 위한 노력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담교사가 배치되지 않더라도 교원들의 상담능력을 확대시킬 만한 교육프로그램 제공 등 연구를 통해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충청남도여성단체협의회(회장 최동수)가 지난 16일 충남교육청 대강당에서 도내 여성단체회원 및 학부모, 청소년시설 관계자 150여 명이 모인 가운데 ‘학교폭력 예방 및 청소년 자살방지 대책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학교폭력과 청소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전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학교폭력과 청소년 자살 등 학교현장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이 시급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윤영우 충남도 여성가족정책관은 이와 관련,“학교폭력 문제는 개인이나 한 개의 학교가 해결할 문제가 아님으로 지역사회 모두가 청소년과 청소년 문화에 관심을 갖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라고 말해 청소년 학교폭력문제가 교육당국은 물론 우리 사회 모두의 문제로 부상했음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뜻깊은 행사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