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을 비롯, 부평 등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가 원생들을 폭행한 사건이 전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는 가운데 청양군의 보육시설 관리 인력이 턱없이 부족, 어린이집 관리에 허점을 보이고 있어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양질의 보육교사들이 어린이집을 떠나고 있어 아이들을 믿고 맡길 수 있는 환경조성과 처우개선 마련도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19일 청양군에 따르면 청양군내 어린이집은 총 16곳이 등록돼 있으며 이들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지도점검, 평가인증, 설치 및 변경 인가, 보조지원 아동 관리 등 수십가지에 달하는 업무를 수행하지만 이를 수행하는 보육 담당자는 1명에 불과한것으로 나타났다.
청양군 보육 담당자는 관내 16개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안전, 근로여건, 보육일지, 급간식 실태를 수시로 관리, 감독하고 보육진흥원에서 운영하는 평가인증의 3단계 중 기본사항 점검 업무도 수행한다. 또 관내 589여명의 어린이집 원생을 대상으로 보육비 지원 대상 선별, 관리 업무까지 맡고 있어 각 어린이집을 분기당 1번 방문, 점검하기도 힘든 상황으로 아동 폭행 등에 대한 관리감독은 불가능한 상태다.
어린이집 종사자의 아동학대 사례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이처럼 관리체계 마저 허술한 것으로 드러나자 어린이집 CCTV의 설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부 학부모들은 인천 어린이집 원아 폭행사건 이후 자신의 아이들을 CCTV가 설치된 어린이집으로 옮기는 것을 고려해 군청에 CCTV에 대한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현재 청양 관내 어린이집 중 CCTV가 설치된 곳은 지난 2014년 보조사업 지원으로 남양어린이집을 비롯, 예일몬테소리, 넓은마당, 파랑새, 도토리숲, 피터팬, 아이사랑 등 7곳에 불과하고 9곳에는 CCTV가 설치돼 있지 않아 학부모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김종관 청양군 의원은 “보육시설에서 각종 사고가 빈발하고 있지만 어린이집 CCTV 의무화 법안이 국회에서 계류되면서 부모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는데 아이들의 안전이 최우선돼야 하는 만큼 군차원에서라도 조례 제정을 통해 CCTV 설치를 비롯, 어린이집 환경조성, 보육교사 처우개선을 지원해 아이들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양군 어린이집연합회 관계자는 “인천 어린이집 사건으로 보육시설에 대한 신뢰가 훼손됐는데 교사들의 인권 침해 논란이 있는 CCTV 설치만이 능사는 아니다”며 “아이를 믿고 맡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처우개선을 비롯, 부모와 보육교사들간의 상호교류를 통해 교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