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베기가 끝난 논에는 최대한 물을 가둬야 합니다. 논이 마른 상태에서 내년 봄에 처음부터 논에 물을 대고 모를 심으려 하면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합니다”“하지만, 지금부터 관정에 있는 물이나 흘러가는 물을 논에 가두면 내년 봄에 적은양의 물을 공급해도 못자리를 하고 모를 심을 수 있습니다”올 초부터 최악의 가뭄으로 재해에 가까운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청양군이 구체적인 가뭄대책을 밝혔다.청양 지역의 강우량은 10월 현재 평년의 절반정도인 51%, 643㎜로 원천수인 빗물이 부족해 군 관리 농업용 62개 소류지의 평균 저수율이 유효저수량의 30%로 떨어져 있는 상황.이석화 군수는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가뭄 대책을 추진할 것”이라며 물 절약 운동에 대한 주민 동참을 호소했다.이 군수는 이어 “청양군을 비롯한 중부지방 특히, 충남 서부지역의 가뭄 장기화로 생활 및 농업 용수가 날이 갈수록 고갈돼 가고 있다”며 “물 부족은 단순히 일상의 불편뿐 아니라 여러 분야에 막대한 피해를 주기에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덧붙였다.이 군수는 특히 ▲관정개발 확대 ▲논 물가두기 대대적 추진 ▲소류지, 하천(보) 준설 ▲소류지 및 저수지 담수 ▲범 군민 절수운동 및 상수도 유수율 제고 ▲가뭄에 따른 농작물 관리 ▲유관기관 협조체계 구축 등 가뭄대책을 발표했다.이 군수는 이 자리에서 “내년 초까지 총 83여억원을 들여 답작용, 밭작물용, 지방상수도용, 공업용 등 276공의 관정을 개발할 계획”이며 “저수율이 낮은 소류지와 하천을 중심으로 준설을 실시해 저수량을 높이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또한 벼 베기 후 경지 주변 냇물 및 관정을 이용한 논 물가두기 사업을 추진해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관망정비 및 누수탐지 사업을 확대해 현재 상수도 유수율 64.2%를 85%까지 끌어 올린다는 방안이다.이와 함께 주민들을 대상으로 물도 유한한 자원임을 인식시키고 평상시 아껴 쓰는 범 군민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며, 농경지 토양수분 및 농작물 생육상황 모니터링, 가뭄대책 자료 제공 및 홍보를 강화해 농업인의 가뭄 대응 능력을 향상 시킬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