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5년 근대식 우편제도 시행으로 역참제가 폐지되면서 사라졌던 노표장승(이정표)이 국내최초로 청양에서 재현된다.칠갑산장승문화축제 추진위원회는 지난 30일 청양군청 대회의실에서 내달 16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되는 제18회 청양 칠갑산장승문화축제 세부추진계획 보고회를 열고 축제 대표 프로그램으로 노표장승 세우기를 선정했다.이날 회의에는 이석화 군수, 이진우 문화원장을 비롯한 추진위원 70여명이 참여해 장승과 관련한 핵심프로그램 발굴과 축제발전방향에 대해 심도 깊게 논의했다. 특히 추진위원회는 노표장승을 청양군 대치면 단국대학교 농장인근에서 장승공원까지 일정거리를 두고 세워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키로 했다.예전 군마를 이용한 우편이나 마을 간의 거리를 알리기 위해 사용됐던 노표장승은 조선시대 관로(국도) 10리마다 세워져 이정표로 쓰였다.현재 노표장승은 독일 베를린 민속학 박물관이 1912년 수집한 인천시 만수동 별리고개의 ‘큰장승’이 가장 완벽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유일한 장승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석화 군수는 “이번 재현으로 역사적 사실이나 사라져가는 청양의 향토문화를 군민들에게 제대로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호식 기자 bjnews@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