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공무원노동조합(노조)의 중앙부처 전입 인사 수용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기인사를 단행했다. 도는 도정에 필요한 결단이라는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노조는 23일 오전 도청 인사위원회 회의실 앞에서 “집행부가 단체교섭과 인사운용기본계획 원칙을 어겼다”며 피켓시위를 벌였다.노조에 따르면 2년 전 인사교류로 충남도로 전입한 행정안전부 소속 A서기관(4급)이 교류기간 종료에 따라 복귀해야 하지만, 이번 인사에서 잔류했다. 결과적으로 4급 한 자리를 얻지 못한 셈.이에 노조는 단체교섭과 인사운용기본계획에 따른 도와 중앙부처 간 1대 1 인사교류 원칙을 어겼다며 강하게 반발했다.‘2020년 단체협약’ 제33조(인사교류)에 도는 중앙부처 및 타 지방자치단체와 6급 이상 인사교류 시 1대 1을 원칙으로 하며, 인사운영 기본계획에 반영해 합리적이고 예측 가능한 인사운영이 될 수 있도록 노조와 사전 협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2020년도 충남 인사운영기본계획’에는 중앙과 도(道)간 인사교류는 동일직급에서 1대 1 상호주의원칙을 준수토록 명시했다.“도정에 꼭 필요” vs “명분 쌓기일 뿐”김용찬 도 행정부지사는 이날 오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인사 발표 기자회견에서 인사원칙 논란에 해명했다. 그는 우선 해당 인사가 도정에 필요한 인물이라는 점을 강조했고, 노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나름의 노력을 다했다는 주장을 폈다.김 부지사는 A서기관을 언급하며 “올해 특별교부세 1034억 원을 확보했다. 지난해 대비 159억 원이 증액됐는데, A서기관이 적극 노력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행안부에 있을 당시 교부세 팀장을 했기 때문에 국회의원실과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며 “(A서기관을) 전입시키는 것이 도정에 도움이 되겠다 싶어 결단을 내렸다”고 말했다.이어 “전입에 따른 승진 자리를 박탈당하지 않도록 행안부와 협의해 3년간 교육 2자리를 확보하도록 했다. 또 행안부가 없애려고 했던 계룡군문화엑스포 3급(부이사관) 자리도 협의를 거쳐 그대로 두기로 했다”고 덧붙였다.노조와 소통부재 지적에는 “전입 인사에 대해 정확히 설명이 안 된 부분은 있지만, 사전에 노조와 소통을 하려고 노력했고, 앞으로도 소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노조는 김 부지사 해명에 “임기응변식 변명일 뿐”이라며 맹 비판했다. 김태신 노조위원장은 “A서기관 능력 때문에 붙잡았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도 출신 서기관도 그 정도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다. A서기관을 받기 위한 명분 쌓기 해명일 뿐”이라고 일갈했다.김 위원장은 “A서기관 정년이 11년 남았다. 4급(2명) 교육자리를 보장받아 (도 출신 공무원의)피해를 최소화 했다고 하지만, 없어진 자리로 인해 하부 직급까지 승진을 하지 못하는 연쇄반응이 일어나게 됐다”며 “(집행부는)중앙부처 공무원 일방전입의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하고, 공식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한편 도는 이날 692명 규모(승진 185명, 전보·전출입 459명, 신규임용 48명)의 정기 인사를 단행했다. 인사 발령일자는 내년 1월 1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