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들이 전통시장은 물론 골목상권까지 초토화시키고 있다. 지역상생을 구호로 외치던 대형마트들은 매출 대부분을 지역 밖으로 유출시키고 지역사회의 기부나 인력채용 등은 생색내기 수준에 그치고 있다.
용역계약 체결시 지역업체를 외면하거나 입주업체에 대한 횡포도 여전하다. 최근 들어서는 상품 공급점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골목상권을 장악하고 있고 할인행사를 미끼로 한 얄팍한 상술로 소비자들까지 우롱하고 있다.
도내 대형마트들이 지역에서 벌어들이는 판매액의 역외유출 규모가 수천억원대에 달한다.
19일 도에 따르면 도내 지역 곳곳에 산재해 있는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의 지난 해 총 매출액은 6877억7000만원으로 점포당 573억1417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이마트 천안점이 870억원으로 도내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올렸다. 이어 롯데마트 천안점이 650억원, 홈플러스 천안점 472억원 순이었다.
그러나 이들 대형마트에서 벌어들인 수익금을 지역은행에 예치하는 비율은 점포당 평균 0.5%에 불과하다. 이마트 천안점과 홈플러스 천안점이 각각 매출액의 1%와 5%를 예치 할 뿐 나머지 10곳은 지역은행에 아예 예치하지 않거나 평균 0.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도내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구입하고 카드결제를 할 경우 곧바로 본사로 입금되는데다 현금결제 또한 전문 수송업체를 통해 수익금을 본사로 가져가기 때문이다. 대형마트에서는 현금결제 비율을 전체 매출의 최대 40% 정도로 보고 있어 총 매출액 6877억원 가운데 2750억원은 지역은행 예치가 가능함에도 이 마저 대부분 역외로 유출되고 있는 셈이다.
더욱이 이들 대형마트에서 납부한 지방세는 전체 매출액의 0.5% 수준으로 집계되고 있지만 개업 당시 부담하는 취득세와 등록세를 제외할 경우 실제 지방세 납부 비율은 더 낮을 것으로 추산된다. 뿐만 아니라 도내 대형마트 대부분은 주차 및 보안관리, 환경관리 용역업체마저 타 지역 업체를 선정, 지역의 자금만 챙기고 지역과 상생은 뒷전이다.
실제 천안의 한 대형마트의 경우 청소용역을 담당하는 수도권 지역 용역업체에 연간 1억 5000여만원을 주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도내 12곳의 대형마트는 연간 수십억원에 달하는 용역비용마저 역외로 유출될 개연성이 높다.
충남도 상인연합회 한 관계자는 “지역에서 돈이 순환돼야 경기가 살아나는 법인데 대형마트 판매액을 모두 본사로 보내기 때문에 지역경기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며 “대형마트에서는 지역과의 상생을 추구한다고 밝힌 만큼 지역사회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재점검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모 대형마트 관계자는 “카드결제액과 현금을 본사로 입금하는 것은 맞지만 인건비와 점포 운영비 등은 다시 지역으로 환원되고 있다” 면서 “본사 방침상 지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해명했다.
이인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