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반도의 명품 바지락이 그동안의 악재를 딛고 그 명성을 되찾고 있다.
태안군에 따르면 지난 4월 유례없는 집단폐사와 엔화가치 하락까지 겹쳐 내수와 수출길 모두 판로를 찾지 못해 어민들을 시름에 빠트렸던 바지락이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태안 바지락은 수확량의 5%만 내수이며 나머지 95%는 일본에 수출됐던 터라 폐사와 겹친 일본 수출길 막힘은 어민들을 더욱 힘들게 했다.
폐사를 견디고 간신히 키워 놓은 바지락을 캐야 될지 말아야 될지 많은 어민들이 고민하고 생사까지 막막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하지만 평생을 일궈온 갯벌에서 어민들은 포기하지 않고 폐사바지락을 솎아내고 폐사된 바지락어장을 일구는 등 온 정성을 다해 갯벌어장을 지켜냈다.
이에 서서히 바지락은 알이 굵어졌고 열리지 않을 것 같았던 일본의 수출길도 점차 회복세을 보였다.
이를 증명하듯 지난 4월 집단 폐사당시 수출 실적이 195t으로 지난해의 절반에 머물렀던 수출용 ‘바지락 원산지 증명서 발급’ 현황이 7월에는 736t, 8월에는 619t으로 지난해의 2배 이상이 발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달에는 지난 17일까지 500여톤의 수출량이 발급돼 일본에서 가장 바지락 인기가 좋다는 4월에 이어 바지락 인기가 상승한다는 9월과 10월을 맞이하고 있어 수출확대를 조심스럽게 기대해 보고 있는 분위기다.
또한 일본 방사능 우려로 각종 수산물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태안 바지락의 일본 수출은 태안 수산물의 안전성을 입증하고 있어 각종 수산물의 내수 및 수출의 매개체가 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태안미래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