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인구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도내 인구는 증가했지만 8개 시?군은 ‘소멸위험’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연구원의 도 내 시군별 인구변화(2015~2016 자료에 따르면 도 인구는 2015년 210만7802명에서 2016년 213만2566명으로 2만4764명(1.2%?외국인 포함) 증가했다. 연구원은 내국인 기준으로 유소년인구가 약 3874명 감소했지만 생산연령인구와 고령인구가 각각 1만4526명, 7659명으로 증가해 인구가 늘어났다고 밝혔다.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인 곳은 홍성군으로 9만4000명에서 10만1000명으로 6.6% 증가했으며 가장 큰 폭의 감소율을 보인 곳은 예산군으로 8만2000명에서 7만9000명으로 ?2.9% 줄었다.홍성군의 인구증가는 내포신도시의 성장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내포신도시가 조성된 후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인접한 예산군 인구의 감소는 자연감소보다는 내포신도시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됐다. 즉 예산군 인구가 홍성군에 흡수되고 있는 현상으로 예산군의 내포신도시의 균형발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은 이유이기도 하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도내 인구가 북부권과 비북부권으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천안, 아산, 서산, 당진 등 북부권 4개 지역의 인구가 충남 전체의 60.7%를 차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도내 시군의 소멸위험지수(20~39세 가임여성인구수를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로 나눈 지표) 조사 결과, 논산, 보령, 금산, 예산, 태안, 부여, 청양, 서천 등 8개 지역이 ‘소멸위험(0.5미만)’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소멸위험지수는 ▲1.5이상이면 정상지역 ▲1.0~1.5미만이면 소멸저위험 ▲0.5~1.0미만이면 소멸주의단계 ▲0.2~0.5미만이면 소멸위험진입 ▲0.2미만이면 소멸고위험 단계로 분류된다.특히 서천과 청양은 ‘소멸고위험’ 단계 수치 0.2미만에 거의 근접한 0.2와 0.21로 나타났다. 최근 ‘인구절벽’으로 마을이 사라질 위기에 처한다는 ‘지방소멸론’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7월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30년 뒤에는 전국 시?군 가운데 3분의 1이 넘는 84곳, 1383개 읍?면?동이 ‘인구소멸지역(거주인구가 한 명도 없는 곳)이 될 것이라는 충격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인구 감소에 더해 인구분포 양극화가 지방소멸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다.충남의 평균연령은 41.6세이며, 서천이 51.6세로 가장 높았다. 가장 낮은 곳은 천안?아산으로 37.3세로 나타났다.충남취재본부장 이종석 기자. bj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