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천댐 건설은 청양·부여는 물론 충남의 미래 100년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특히, 지천댐은 단순한 수자원 확보를 넘어, 지역 생태계의 조화로운 발전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초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의 흐름은 그 자체로 생명력의 상징이며, 이러한 기반 위에 우리는 미래 세대에게 더 나은 환경을 물려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지속 가능한 발전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지천댐은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천댐 건설과 관련 찬·반으로 의견이 갈라져 1년 넘게 논란이 빚고 있는 가운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의 청양방문으로 어떤 결론이 도출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충남도가 환경부에 당초 계획대로 지천 기후대응댐 건설을 추진해 줄 것을 요청했다.박정주 도 행정부지사는 29일 신규댐 정밀 재검토를 위해 댐 후보지를 방문한 김성환 환경부장관에게 “대한민국과 충남의 미래 100년을 위해 지천댐 건설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어 “대통령께서도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미래를 위한 첨단기술산업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하셨다”며 “아시다시피 첨단기술산업은 많은 물과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대한민국 경제를 책임지는 충남은 국가첨단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무역수지 전국 1위”라며 “그러나 용수의 80% 이상을 타 지역에 위치한 대청댐에 의존하고 있어 지천댐이 꼭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실제 지천댐 후보지인 청양군만 해도 하루에 필요한 생활용수 중 6000㎥(60%)를 보령댐, 2000㎥(20%)를 대청댐에, 부여군은 100%(2만 9000㎥)를 대청댐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가뭄이 발생한 2015년 9월 30일에는 청양군 등 8개 시군에 제한급수를 실시했으며, 2017년, 2018년, 2020년, 2022년에는 부여군 일대 42개 지역에서 운반급수를 실시한 바 있다.주요 내용은 이주정착금, 리브투게더 연계 이주단지 조성 등 수몰지역 지원과 도로 등 주변지역 지원사업 확대, 관광자원화 사업 등 친수공간을 활용한 지역 경제 활성화이다.박 부지사는 “청양·부여군의 숙원사업과 주민 삶의 질을 높여줄 각종 사업을 추가로 지원할 것”이라며 “지역공동체 보존과 지역활성화 사업으로 외지 사람들이 모여드는 청양·부여군을 만들겠다”고 밝혔다.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청양·부여군은 극한 호우로 인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이라며, “지천댐 건설 시 홍수량의 39%를 분담해 홍수방어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김성환 장관은 “지천댐 건설 시 물 부족 문제와 폭우로 인한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 정밀하게 검토하겠다”며 “국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답했다.한편, 이날 행사는 박정주 행정부지사와 김성환 장관을 비롯해 송호석 금강유역환경청장, 김돈곤 청양군수,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도의 댐 필요성 설명 △수자원공사의 댐 후보지 검토현황 발표 △지역주민 의견수렴 순으로 진행됐다./이인식 대표기자. 민태임 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