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에 화학사고 전담조직을 배치한다고 21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도내 유해화학물질 영입허가를 받은 사업장은 888개(지난해 말 기준)로 이중 536개가 천안과 아산, 서산, 당진 등 서북부에 밀집했다. 연도별 도내 화학사고는 2015년 6건, 2016년 8건, 2017년 6건, 2018년 3건, 2019년 9건으로 집계됐다. 서북부 4개 지역 화학사고는 전체 발생 건수의 66%(21건)에 달했다. 이 같은 상황에 도는 화학과 철강, 화력발전 등 대형배출사업장이 밀집한 대산단지에 화학사고 예방대응 전담조직 ‘서북부권환경관리단’을 배치했다. 서북부권환경관리단은 도 환경안전관리과 4명과 도 보건환경연구원 4명 등 8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대산항 119지역대 건물 내 사무실을 마련하고 이날부터 업무에 나섰다, 김찬배 도 기후환경국장은 “지난해 석유화학업체 유증기 분출사고를 비롯한 연이은 화학사고로 도민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며 “다각적인 화학물질 안전관리 체계 구축으로 올해 화학사고 무발생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