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문서 등 관습적으로 계속 사용충남도가 우리 농업 속 일본 용어와 한자·은어·속어 등 잘못된 용어를 순우리말로 순화해 사용한다고 밝힌 바 있지만 공문서 등에서는 여전히 관습적으로 사용, 한글날을 앞두고 되돌아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도는 지난 8월 15일 제74주년 광복절을 맞아 오랫동안 사용해 온 일본식 표현과 한자 농업용어 등을 순우리말로 순화해 사용한다고 밝혔다.일상적으로 농업에서 쓰이는 일본어가 은연중에 국민의 사고를 지배할 수 있기 때문에 청년 농부와 귀촌·귀농 농업인, 관련 단체, 도민 등에게 순우리말 사용을 권장한다고도 했다.구체적으로 ▲관정(管井)→우물 ▲한발(旱魃)→가뭄 ▲선과(選果)→과일 고르기 등을 예로 들며 농업기반분야 28개, 농작물 분야 28개, 재배기술 분야 40개, 축산 분야 13개 등 109개를 우선적으로 순화하고 매월 `이달의 순 우리말` 농업용어를 5개씩 선정한다는 것.그러면서 흔히 쓰는 말과 농업용어로 생각하기 어려운 한자어 다섯 단어 `시비` `수도` `위조` `도복` `천식`을 우선적으로 선택해 집중 홍보한다고 밝혔다.하지만 도가 지난 8월 이후 생산한 보도 자료와 주간업무계획 등의 문서에는 `도복` `낙과` `지주` 등이 여전히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태풍 피해와 농업 관련 문서에서 두드러지는 모습으로 이같은 표현이 3~4번 이상 반복되고 있다.`도복`을 쓰러짐으로, `시비`를 비료주기로, `수도`를 논벼로 순화가 필요한 용어 등으로 지정, 적극 홍보가 필요하다면서 정작 공문서에는 관습적으로 쓰고 있는 셈이다.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워낙 오랫동안 사용해 오던 말이라 금방은 바뀌지 않는 것 같다. 회의나 행사 자리 등에서 가급적 순화된 용어를 쓰자고 꾸준히 권장하고 있다"며 "올해 말에는 알기 쉬운 농업용어자료집도 발간해 보급할 예정으로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