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교복대리점 종사자들이 3일 `교복 표준모델 도입 및 일괄구매 제도`를 추진 중인 충남도교육청 앞에서 생존권 위협을 주장하며 집회를 개최했다.
스마트, 스쿨룩스, 아이비클럽, 엘리트 등 국내 4대 교복브랜드로 구성된 충남지역교복대리점 생존권 사수 대책위(위원장 안상효) 등 2,000여명은 이날 "도교육청의 정책으로 삶의 터전을 잃게 돼 50만 업계 종사자들은 하루아침에 거리로 내몰릴 위기에 처했다"며 "정책을 폐지 또는 전면 재검토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교복은 단순한 제복 개념을 초월해 학교 교풍과 정신, 긍지를 갖게 하고 학생의 개성과 취향을 살리려고 도입된 것"이라며 "교복 표준모델은 교복을 도입한 취지를 훼손하고 학생의 교복 선택권을 박탈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또한, 교복구매 관련 사항은 학교 운영위원회의 결정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충남교육청에서는 타당성 검토와 소비자 여론조사도 없이 결정한 정책을 일방적으로 강행하고 있으며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학교평가에 반영한다는 것은 정부기관이라는 우월적 지위를 남용하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실제로 교복 표준모델 도입 및 일괄구매 제도가 시행되면 기존의 교복대리점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교복 대리점들에주 의하면 매년 신입생수를 고려해 본사에 주문을 넣지만 팔고 남은 재고가 20~30%가량 된다. 남은 재고는 반품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해 까지 재고로 두며 20%가량 할인된 금액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일괄구매제도가 시행되면 재고 교복은 폐기처분할 수밖에 없어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된다는 것이다.
이번 정책의 명분으로 내세웠던 비싼 교복가격에도 점주들은 부정하고 있다.
당진시에서 엘리트 교복대리점을 운영하는 이문자 사장은 “공동구매를 할 경우 일단 몇 만원 싸니까 저렴해 보이지만 지금까지 공동구매는 무조건 현금으로 해왔으며 수선을 하려해도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자비를 들여서 해야 했다. 그러나 대리점에서 구매하는 교복은 디자인과 품질은 물론 3년동안 무상으로 AS를 해주고 시간도 절약돼 결코 비싸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충남에서는 14개 시·군 학부모 대표로 구성된 충남 학생교복적정가추진위원회(위원장 김기준)와 충남학교운영위원 연합회(회장 지용기)가 지난달 충남지역 전체에 통용되는 학생교복 표준모델을 도입하기로 했다.
해마다 입학생 감소로 소규모 학교에서는 교복 구매가 소량에 그쳐 교복 제작업체를 구하는 게 어려웠고, 독점 공급 형태로 판매구조가 형성되면서 교복을 고가에 살 수밖에 없는 악순환을 해소한다는 차원에서다.
또한, 전국교복가격 평균 보다 높은 충남의 교복가격 안정을 통해 학부모들에게 부담을 덜어준다는 계산이다.
충남내포지역신문협회 차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