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에 대한 새누리당의 당론 결정이 늦어지면서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지역 정치권의 반발이 예상된다. 민주당이 정당공천제 폐지를 당론으로 채택하고 새누리당으로 공을 넘긴 지 한 달이 지났지만 2일 현재 당론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지난달 29, 30일 홍천에서 열린 새누리당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공천제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당시 연찬회에서는 “(공천제 문제는) 워낙 민감한 사안이어서 누군가 먼저 쉽게 얘기를 꺼낼 상황이 아니다”라는 분위기만 전해졌다. 9월 정기국회에서도 정당공천제 폐지문제가 의제로 부상할 가능성은 낮은 상태다. 통합진보당 이석기 국회의원 등의 내란예비음모 혐의 수사라는 대형 이슈가 터진만큼 국회가 공천제 문제 등 정치개혁안을 비중있게 다루는 것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런 상황에서 새누리당 내에서는 공천 유지를 주장하는 측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특히 여성 의원 및 당원들은 공천제 폐지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며 폐지 반대 의견을 당 지도부에 적극 전달하고 있다. 공천 폐지 요구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은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민주당은 지난 7월 25일 전(全)당원 투표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방침을 확정했지만 최근 국정원 문제 해결을 위한 장외투쟁에 당력을 집중하면서 공천제 문제를 꺼내지 않고 있다. 이처럼 시간이 지날수록 공천제 논의가 뒷전으로 밀리는 분위기가 감지되자 지역에서는 “새누리당이 공천제를 유지하기 위한 명분을 찾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도내 단체장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A 입지자는 “정당공천제 문제와 상관없이 시장에 출마하겠다는 결심을 굳혔지만 폐지 여부에 따라 경쟁자의 숫자 등 선거구도 자체가 바뀔 수 있어 민감하다”며 “9월 국회에서는 새누리당이 공천제 문제를 들고 나와 확실히 매듭짓는 결단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공론화 되지 않고 있지만 내부에서는 공천제 문제에 대한 찬반 의견이 오가고 있다”며 “지역의 관심이 워낙 높은 만큼 조만간 당 차원의 입장 정리가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명일 서울취재본부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